민주노총의 임원 직선제 등 조직 혁신안이 성원 미달로 처리되지 못해 사실상 다음 지도부의 과제로 넘어갔다. 이로써 다음 집행부는 현행대로 간선제로 선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 노사관계민주화방안쟁취, 한미FTA저지, 비정규 권리보장 쟁취를 위한 11월 15일 전면 총파업 돌입 등 하반기 투쟁 계획을 결의했다. 민주노총(위원장 조준호)은 지난 19일 서울 용산구민회관에서 열린 38차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통과시켰다.
이날 열린 임시대의원대회에 조직혁신안으로 제출된 재정확충 방안, 임원 직선제 방안, 비정규 할당제는 규약 개정으로 표결처리할 안이었다. 저녁 9시경 조준호 위원장은 “지금 재적수가 아슬아슬하다. 이견이 없으면 만장일치로 통과 시켰으면 좋겠다”고 말하면서 일괄처리를 제의해 △재정투명성 강화 △윤리강령 채택은 통과시켰다. 그러나 직선제안에 대의원직선제, 중소영세사업장, 이주노동자 할당 등의 수정동의안이 제안됐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재적수 파악을 했다. 파악 결과 과반 재적수인 519명에 9명이 부족한 510명 재적으로 9시 30분경 대회가 유회되었다. 이로써 직선제, 재정확충 방안, 비정규 할당제 등은 처리되지 못하고 다음 대회로 넘어가면서 다음 집행부는 현행대로 간선제로 치러질 전망이어서 ‘노동자의 축제’로 만들려는 민주노총 임원 직선제는 ‘다음 기회에’ 논의될 전망이다.
한미FTA저지, 노사관계민주화방안쟁취 11월 총파업 돌입 등 하반기 계획은 통과
한미FTA저지, 노사관계민주화방안쟁취, 비정규 권리보장 입법 쟁취를 위한 11월 15일 총파업 돌입을 골자로 한 하반기 계획은 통과됐다.
9.11야합을 비판하며 민주노조 운동의 중요한 기로인 ‘로드맵’을 분쇄하고 노사관계민주화방안쟁취, 한미FTA저지, 비정규 권리보장 입법 쟁취를 하반기 3대 핵심요구로 하고 11월 15일 전면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한국노총과의 ‘공조’에 대해 비판하고 이 연장에서 노사정위원회, 노사정대표자회의 등 ‘사회적교섭’ 참여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함께 이후 모든 노사정 대화 모델에 참여하지 말자는 요구가 제기됐다. 한 대의원은 9.11야합과 연관해 교섭에 참여했던 위원장의 사과를 요구하며 “노사정대표자회의에 참석해 얻은 것은 없고 뒤통수만 맞았다. 계속 들러리만 섰다. 이후 모든 노사정 교섭에 불참하고 대의원대회 승인을 얻은 뒤에 참석하자”고 수정안을 제출했다. 이 안은 표결 결과 237명 참석으로 부결됐다. 또 “9.11야합으로 인해, 노사정대표자회의는 사실상 용도폐기되었음을 선언한다”고 했지만 ‘사회적 교섭’을 둘러싼 첨예한 논란의 불씨는 꺼지지 않았다.
이어 대의원들이 나가는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924평화대행진 총력 집중’, ‘공무원 노조 탄압 중단’을 요구하는 특별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날 조직혁신안 처리 무산에 대해 대의원의 책임있는 자세가 아쉬웠다는 분위기이다. 이경수 전 충남본부장은 "안타깝다. 물론 여러가지 상황이 있겠지만 대의원들이 고민을 좀 더 깊이 했으면 좋겠다"며 안타까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