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수주비리를 수사 중인 대구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최종원)는 31일 시공사로 선정되기 위해 도시정비업체 관계자들에게 거액의 돈을 건넨 혐의(뇌물수수 및 건설산업기본법 위반)로 코오롱건설 영업본부장 김모씨와 영업팀장 이모씨 등 2명에 대해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에 따르면 코오롱건설 관계자들은 2004년에서 2006년 사이 대구지역에서 재개발 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도시정비업체 대표들에게 1인당 4억~6억원씩을 준 혐의를 받고 있다. 코오롱건설은 이들 도시정비업체가 추진한 대부분의 사업을 수주했다.
제 버릇 개 못준다는 옛말이 틀리지 않았다. 코오롱그룹은 2004년 코오롱캐피탈의 480억 자금횡령으로 이사가 구속되는가 하면 2005년 (주)코오롱 정리해고를 강행하면서 노조와의 합의를 두 번이나 뒤엎었을 뿐 아니라 노조임원 선거결과를 뒤엎기 위해 선거관리위원들을 돈으로 매수해 인사팀장이 구속되기도 했다. 이번 코오롱건설의 수주비리는 코오롱의 부패비리 경영방식이 또다시 확인된 것에 불과하다.
코오롱그룹 이웅열회장은 입만 열면 “윤리경영”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반윤리적 기업행태를 조금도 버리지 못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부패비리 사건이 해마다 불거져나오는 것은 코오롱그룹의 경영에 근본적 의문을 갖게 한다. 코오롱은 이번에도 또 “청탁성 자금이 아니라 대여금”이라고 변명하고 있다. 번번히 그랬다. 정리해고가 노사합의를 위반한 것이라 했을 때도 “상황이 변했다”고 변명했고, 노조선거관리위원들에 대한 금품제공 의혹을 제기했을 때도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고 했으며, 블랙리스트로 현장노동자를 감시관리한 문건이 드러났을 때도 “관리자 개인의 일”이라고 발뺌했다. 그러나 코오롱의 조직적 노조탄압과 부당노동행위는 검찰의 압수수색으로 사실로 확인되었다. 코오롱그룹의 거듭된 반인권적, 반윤리적 행보는 일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언제까지 도마뱀 꼬리자르기 방식으로 범죄를 반복할 것인가?
정부에 촉구한다. 재벌에 속하는 코오롱그룹의 부패비리 경영으로 가장 피해를 입고 있는 것은 노동자와 국민이다. 노조와의 신의를 헌신짝처럼 내던지고 용역폭행과 반인권적 노조탄압으로 대응할 때부터 그 싹을 알아봤어야 한다. 이번 코오롱건설 수주비리를 철저히 수사해 엄단하지 않는다면 이런 범죄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코오롱이 진정으로 “윤리경영”에 나서게 하기 위해서라도 코오롱 부패경영을 엄단하라!